본문 바로가기
  • 동기부여: 1보 전진을 위한 선택
생활심리

강력한 동기가 생겨버린 돈의 욕구 그 배경과 해석방법

by cashoasis 2024. 3. 12.
반응형

대표이미지

 

최소의 위험을 부담하면서 최대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

편안한 삶을 살기 위해 하고 싶은 것을 누리기 위해 행복하기 위해 얻어야 하는 것 

 

그림1- 돈
그림1- 돈

 

 

이 것들을 얻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 돈=money 입니다. 이 돈이 인간의 핵심적인 동기가 되어 

하루에 한 번 이상 나오는 단어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렇다면 돈의 욕구가 왜 강력한 동기를 이끌어내는 것일까? 

돈의 욕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고 해석될 수 있습니다. 

 

1. 욕구 단계 이론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 욕구,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돈은 주로 2단계인 안전 욕구와 4단계인 존경 욕구 충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4.03.06 - [생활심리] - 동기부여의 연관성과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

 

 

알더퍼의 ERG 이론

존재 욕구, 관련 욕구, 성장 욕구의 3가지 욕구. 돈은 존재 욕구와 관련 욕구 충족에 필수적입니다.

 

2. 정신분석 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돈은 무의식적인 욕구, 특히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상징으로 해석. 돈에 대한 집착은 무해결된 갈등이나 불안의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돈을  쾌락의 상징으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프롬의 사회심리적 정신분석 이론

 돈은 사회적 관계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 돈에 대한 태도는 개인의 성격과 사회적 경험에 의해 형성됩니다. 돈으로 지위가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3. 인지심리학

돈에 대한 인지

 개인의 돈에 대한 가치관, 신념, 태도는 돈의 욕구에 영향을 미침. 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돈을 더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관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행동 경제학

 사람들은 돈을 사용할 때 미래의 돈보다 현재의 돈을 더 가치 있게 생각하는 경향. 이는 단기적인 사고방식과 감정적인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4. 사회문화적 관점

돈의 욕구가 커질 수 밖에 없는 세상의 환경인 사회문화적인 관점이다. 이는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돈에 대한 문화적 가치형성

 

문화마다 돈에 대한 가치와 의미가 다르게 형성됨. 돈을 중요시하는 문화에서는 돈의 욕구가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 코로나 시국을 경험한 이후 물가의 급등과 금리 인상으로 인해 돈을 더욱 필요로 하고 있어 돈의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회적 계층

 

사회적 계층에 따라 돈의 욕구와 의미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경제적으로 어려운 계층은 돈을 살기 위한 생존의 수단 및 안전을 목표로 나타납니다.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으로 표현하면 1단계와 2단계에 해당된다.

 

반대로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계층은 돈을 모든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사용하지만 부자의 경우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한 존중 욕구와 돈을 더 벌기 위해 더 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욕구인 자아실현 욕구에 사용합니다. 이를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으로 표현하면 4단계와 5단계에 해당된다.

 

5. 개인적 차이

마지막으로 개개인의 차이점입니다. 개개인의 성격과 경험의 차이에서 돈의 욕구가 생깁니다.

 

결론

누구든지 돈을 많이 벌고 싶고 부자가 되고 싶기에 돈의 욕구는 뿌리칠 수 없는 필수불가결의 수단이 되어버렸습니다.

 

돈의 욕구는 단순한 개인적인 욕망이 아니라, 다양한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잡한 현상입니다. 돈의 욕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과 접근 방식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잘 활용하여 현명한 부자가 되길 기원합니다.

 

 

Next-> 알더퍼의 ERG 이론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행복과 쾌락감의 호르몬 도파민의 역할과 활용

극적인 쾌락감과 단전에서부터 끌어 오르는 행복과 성취감을 느껴본 적 있으시죠? 이를 도파민이라 부릅니다. 도파민은 우리 뇌에서 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로 흔히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지만

blogmoney.co.kr

 

동기부여의 연관성과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

"사람은 욕망의 동물이다."라는 말이 있다. 로맨스 영화나 시리즈물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글귀이자 어디서든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욕망을 꿈꾸며 사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 욕

blogmoney.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