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적인 쾌락감과 단전에서부터 끌어 오르는 행복과 성취감을 느껴본 적 있으시죠? 이를 도파민이라 부릅니다.
도파민은 우리 뇌에서 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로 흔히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지만, 그 역할은 행복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도파민은 동기 부여, 학습, 기억, 주의, 운동 조절 등 다양한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파민의 역할
* 동기 부여: 도파민은 우리에게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목표를 설정했을 때, 뇌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되어 쾌락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 쾌락감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합니다.
* 학습: 도파민은 학습과 기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기억할 때 뇌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되어 학습과 기억을 강화합니다.
* 주의: 도파민은 주의력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의가 필요한 상황에서 뇌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되어 집중력을 높입니다.
* 운동 조절: 도파민은 운동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운동을 할 때 뇌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되어 운동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보상 시스템: 도파민은 보상 시스템과도 관련됩니다. 원하는 것을 얻거나 목표를 달성했을 때 뇌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되어 쾌락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 쾌락감은 같은 행동을 반복하도록 유도합니다.
도파민과 관련된 질환
도파민은 많으면 좋을까 적으면 안 될까?? 결론은 둘 다 그렇지 않다. 왜 그런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뇌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가 죽어 발생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입니다. 파킨슨병 환자는 운동 장애, 떨림, 무기력, 인지 기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 주의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DHD는 주의 집중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정신 질환입니다. ADHD 환자는 뇌에서 도파민 분비가 적거나 도파민에 대한 반응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중독: 도파민은 중독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약, 음주, 도박, 유흥 등 중독성 물질이나 활동은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쾌락감을 추구하여 중독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잘못된 습관의 의한 중독이며 과할 경우 건강을 해치거나 가정을 파국으로 몰아가며 한 사람의 인생에 평생의 상처를 남겨 비참하게 만들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도파민 수치를 높이는 방법
도파민의 수치를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 건강한 식습관 -> 삶에 있어 권장하는 내용
* 목표 설정, 취미 활동 -> 목적지 설정과 감정 형성에 중요한 내용
도파민은 우리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도파민의 역할과 관련 질환, 도파민 수치를 높이는 방법과 영향 등을 이해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만족감과 성취감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세로토닌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잘했어 잘하고 있을거야 잘 할거야" 동기부여가 주는 영향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고래도 얼마나 기분이 좋았으면 춤을 추었을까? 잘한다는 말이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신감 향상 긍정적인 격려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blogmoney.co.kr
만인의 병 : 불면증의 원인과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캐시오아시스입니다. 앞서 제가 포스팅했던 글 중에 벼락치기에 관한 글을 포스팅했었습니다. 중요한 정보를 기억하고 싶다면 바로 잠을 청하라는 내용이었는데요. 그 잠과 관련된
blogmoney.co.kr
잠재의식의 힘 잠재력을 깨우려면?
우리 삶의 우리의 능력 중에 숨겨져 있는 힘이 있다고 합니다. 그것은 누구에게나 가지고 있는데 의식적으로는 알 수 없는 신비한 힘인 잠재의식의 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잠재의식
blogmoney.co.kr
'생활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력한 동기가 생겨버린 돈의 욕구 그 배경과 해석방법 (0) | 2024.03.12 |
---|---|
동기부여의 연관성과 매슬로우의 5단계 욕구 (0) | 2024.03.06 |
착한 가격 업소 이용과 캐시백 혜택 (0) | 2024.02.15 |
잠재의식의 힘 잠재력을 깨우려면? (0) | 2024.02.14 |
"잘했어 잘하고 있을거야 잘 할거야" 동기부여가 주는 영향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