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동기부여: 1보 전진을 위한 선택
회사꿀팁

월급 때문에 고통 받는 직장인 이미 중독되어있다?

by cashoasis 2024. 2. 23.
반응형

대표이미지

 

직장인들이 살면서 다섯 손가락 안에 기다리는 이유 중에 하나가 월급이다.

그런 월급을 받으면서 한 번 쯤은 월급 없이는 살 수 없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가?

 

월급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일을 하고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일을 한다는 이유

월급이라는 약을 매월 정기적으로 투여하고 있다면 중독이 아닐까?

 

월급에 중독되었을 때 생기는 현상

 

 

그림1- 중독 (출처: 네이버블로그)
그림1- 중독 (출처: 네이버블로그)

 

그런 월급이 중독일 수 있는 내용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없으면 고통스럽다

월급 없이 카드값과 각종 고지서 납부로 고통받고 있다면 중독이라 할 수 있다.

담배를 끊으면 금단현상으로 온갖 스트레스와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는데 이와 비슷하다.

한 번 맛보면 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양을 점점 늘려야 한다

작년과 올해 월급이 동일하다면 물가 상승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득이 감소하는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대적인 박탈감과 손해를 보았다는 생각에 빠지게 되는데 여기서 부족함을 느껴버린다.

 

담배도 부족하다 느껴져서 양을 늘어나 한갑 두 갑이 되는데 양이 늘어나지 않는다면 내성이 생겨버린다.

 

매우 비싼 대가를 치르게 된다

월급에는 노동의 대가와 소중한 시간들을 투자해야 받는 돈이다.

마약과 도박은 유흥과 쾌락을 즐기기위해 가족, 친구, 재산을 모두 잃을 수 있다.

 

그럼에도 월급을 끊을 수 없는 이유는 말로는 더러워서 회사 못 다니겠네라고 말하면서 월급날이 되어 통장에 돈이 입금되면 흐뭇한 미소를 지으며 통장내역을 확인하고 연말에 성과급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즐거운 상상에 빠지게 된다. 이미 여기서 희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월급 중독의 해결 방안

 

그렇다면 월급에 중독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월급은 영원하지 않다. 월급이 끊길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라

 

월급을 영원히 받을 수는 없다. 지금의 직장을 오래 다니지 못할 수도 있고 회사의 부도로 인해 직장을 이직해야 하거나 실직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실업급여는 나오겠지만 월급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월급에 중독되었다면 이런 상황이 생겼을 때 대책을 세우지 않았으니 당장 멘붕이 오게 될 것이다. 언제라도 월급이 끊길 수 있음을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일깨워 주어야 하며 월급이 영원하다는 인식은 버려야 한다.

 

꿈을 위해 자신만의 목표를 정하고 투자하라

그림2- 스케쥴표
그림2- 스케쥴표

 

자기 계발을 위해 잠시 회사를 떠나 공부할 수 있으며 자격증 취득이나 고시패스를 위해 회사를 떠나 공부할 수도 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정하고 회사에 다녀야 합니다. 투잡을 하거나 시간을 쪼개서 한다면 월급을 받으면서 일을 할 수 있지만 이 경우를 제외하고 회사를 떠난다면 월급은 받을 수 없다.

 

필자의 경우 전기기사 취득을 위한 꿈을 위해 회사를 나와 공부했던 적이 있었다. 정말 이때는 월급을 못받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 부모님도 강하게 반대했었지만 일과 병행하면서 취득할 수 없음을 깨닫고 과감히 월급을 포기하고 공부했었다, 지금은 전기기사를 취득하고 시설관리자로 원하는 일을 하고 있다.

 

꿈을 위해서 월급을 끊을 수 있어야 한다.

 

가계부 작성과 부업을 시작하라

그럼에도 돈을 꼭 받아야 겠다면 부업을 준비하고 수익을 실현해야 합니다. 월급이 아닌 다른 수익을 통해서 월급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월급을 포기하면서까지 각오를 다지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월급이 영원하지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앞으로 전진한다면 월급에 중독되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의 직장인분들 파이팅 하십시오.

 

다음에는 중독에 관한 포스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행복과 쾌락감의 호르몬 도파민의 역할과 활용

극적인 쾌락감과 단전에서부터 끌어 오르는 행복과 성취감을 느껴본 적 있으시죠? 이를 도파민이라 부릅니다. 도파민은 우리 뇌에서 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로 흔히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지만

blogmoney.co.kr

 

 

월급날은 왜 25일과 10일이 많은것인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다섯 손가락 안에 기대하고 있는 시간이 있습니다. 바로 월급날입니다. 최근 회사에서는 월급날이 달라서 일관성 있지 않았지만 과거에는 대부분의 회사가 월급을 25일에

blogmoney.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