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동기부여: 1보 전진을 위한 선택
생활심리

학습심리 생활사례(3)- 단체과제시 확실한 업무분담을 하라

by cashoasis 2024. 1. 20.
반응형

사회적 태만

소위 "묻어가기" , "무임승차"와 같이 집단 작업을 할 때 개인의 성취가 떨어지는 현상으로 이를 "사회적 태만"이라고 한다.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은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상황에서 혼자 일할 때보다 노력을 덜 들여 개인의 수행이 떨어지는 경향을 뜻합니다. 사회적 태만은 이미 많은 실험에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위에서도 쉽게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사회적 태만의 발생 요인

사회적 태만의 발생 요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책임 분산: 집단에서 일할 때는 개별적인 책임이 분산되기 때문에, 개인이 자신의 노력에 대한 책임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 무임승차: 집단에서 일할 때는 다른 사람이 노력을 해도 결과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 노력을 덜 해도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무임승차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개인의 동기: 개인의 동기가 낮으면 사회적 태만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조화의 상실: 각 구성원들의 힘이 동일한 순간에 집중되지 않는 것
  • 의무감 저하: 개인의 기여도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일을 타인에게 떠맡기려는 습성

사회적 태만사례 1: 줄다리기

사회적 태만은 1900년대 초반에 프랑스의 사회심리학자 샤를 퓌르트(Charles-Édouard Bonnot)가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퓌르트는 밧줄을 당기는 실험을 통해, 혼자서 밧줄을 당길 때보다 두 명이 함께 당길 때, 세 명이 함께 당길 때는 더 적은 힘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1929년 독일의 링글만이 실제로 줄다리기에 대해 실험했었는데 1명일 때 기개인 기여도가 100% 였다면 8명일 때 개인 기여도가 49% 임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태만사례 2: 립싱크

 1979년 라타네, 윌리엄스, 하킨스의 실험에서 발견한 사례로 청중들 앞에서 연설하고 있는 발표자가 호응을 유도할 때

1명이서 고함을 지르며 손뼉 칠 손뼉 칠 때보다 6명이서 고함을 지르며 손뼉 칠 때 더 적은 힘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고함이라고 하는 것은 소리의 차이인데 소리가 크면 클수록 묻어갈 수 있는 데시벨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군대에서 조교가 "목소리 이것밖에 안 나옵니까?"라고 할 때 큰 소리로 고함을 지르면서 "아닙니다"라고 대답하는데 분명 이 글을 읽고 계시는 군대 다녀온 군필자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내가 고함을 안 질러도 충분히 크겠지"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사회적 태만 방지 대책

사회적 태만은 단체 과제의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적 태만을 방지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개별적인 책임의 부여

사회적 태만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개별적인 책임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각 구성원이 자신의 노력에 대한 책임을 느낄 수 있도록, 개별적인 책임을 부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과제의 목표와 내용을 명확히 하고, 각 구성원이 수행해야 할 업무를 구체적으로 분배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각 구성원의 업무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책임감을 강화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개인의 동기 부여

개인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 성과에 대한 개별적인 보상을 제공하거나,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과제의 결과에 따라 개별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우수한 성과를 거둔 구성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과제에 대한 구성원의 이해도를 높이고, 구성원들이 과제에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집단의 분위기 조성

집단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고, 책임감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구성원들 간의 소통과 협력을 장려하고, 구성원들이 서로 존중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구성원들이 서로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단체 과제의 팀장 선정

앞서 설명한 세 가지는 개인이 동기부여를 하고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한 것이라면 팀장의 선정은 개개인의 능력을 믿고 이끌어 줘야 합니다. 구성원들이 서로 존중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구성원 간의 소통과 협력이 잘 이루어진다면 팀장 역시 부담을 덜 수 있으며 팀의 중심을 잡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 같이 함께 해야 빛을 발하는 것이 단체활동입니다. 나 하나쯤이야 라는 생각하지 말고 요령 부리지 말고 내 일처럼 최선을 다하는 일원이 됩시다.

반응형